개발자/IT 회사 생존기

교직원 생활의 비밀, 단점은 어디에나 있다

Torybory 2025. 3. 4. 18:21
반응형

안녕하세요.
토리보리입니다!
 
오늘은 사립대에서 교직원으로 근무하는 것의 단점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사립대학교 교직원은 안정적인 직장과
비교적 좋은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직업 중 하나 이지만 장점이 있는 만큼 단점도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이에 대해 솔직하게 작성하고자 합니다.


반응형

1. 세대 간의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

일단 교직원은 철밥통이니만큼 저 사람이 만 65세가 되기 까지 
퇴직을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오래 있기 때문에 계속 봐야 합니다.
싫어도 계속 봐야 합니다.... 
 
공무원은 2년마다 이동이라도 하지
학교는 부서마다 옮기기도 하지만 
학교 특성상 그 자리에 붙박이로 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싫어하는 사람이 생겨버리면 힘들게 됩니다.
 


 

2. 업무 대비 낮은 급여 및 복지

성과급과 야근에 관한 수당이 없습니다.
그리고 학교마다 급여나 복지수준이 천차만별인데
연봉이 동결 상태로 몇 년째 지속되고 있기도 합니다.
 
 

3. 정년 보장의 불확실성

젊은 인구의 감소로
학교가 흔들리고 있음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이제 대학교간의 통합도 
심심치 않게 보게 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잘 나가는 대학교 아니면
정년이 보장되더라도,

학생 수 감소와 대학 구조조정이 이슈가 되는 요

고용 안정성을 장담할 수 없습니다. 

 

4. 업무 강도 및 행정 부담

사립대학교의 경우 인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한 명의 직원이 여러 가지 업무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시, 학사 행정, 회계, 홍보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는데, 꿀부서가 있다면 있겠지만
대부분은 맡은 파트가 많아서
이로 인해 업무량이 많아지고
야근이 잦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교수진 및 학생과의 트러블

교수님이 굉장히 까탈스럽습니다.
물론 안 그러신 분들도 있고, 교수와 자주 마주치지 않는 부서도 있지만

자주 봐야 하는 부서의 경우 힘든 점이 생기기도 합니다.
 
교수님들은 정말 예상외로
본인의 전공분야만 잘 알고 계십니다.
특히, 일부 교수님이 교직원을 하급자로 대하거나,
업무 지시가 과중할 경우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학생들을 매일 보는 것은 행복하고 보람찬 일이기도 하지만
되바라진 학생들의 민원이 들어올 때도 있습니다.

728x90

5. 승진 정체 및 커리어 발전 기회 부족

직급이 많지 않아 승진이 어렵고
상위 직급으로 올라가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특정 직무에 고정되면
다양한 경험을 쌓기가 어려워 경력 개발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또... 계속 일하다 보면 그 일만 하게 되고
정체되기 쉽고

생각보다 일을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립대 정규직 교직원 정년: 기준과 정책

안녕하세요. 토리보리입니다. 😊 오늘은 사립대학교 교직원의정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저는 사립대 교직원 정규직이며, 일반적인 정보에 더해서, 저희 학교의 기준에 대

snowball-jenny.tistory.com

 

Q. 교직원은 점심시간에 뭘 하나

안녕하세요,토리보리입니다.오늘은 교직원은 점심시간에 뭘 할까?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교직원에 관심이 생긴 당신!이런 글은 어디에서도 찾기 힘들었을텐데요.오늘은 점심시간에 무엇을

snowball-jenny.tistory.com

 

사립대학교 교직원 하는 일

오늘은 사립대학교 교직원이 하는 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대학에는 크게 공립, 사립이 있습니다. 1. 공립 대학교공무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무원 시험을 쳐서 들어가가도 합니

snowball-jenny.tistory.com